상단영역

본문영역

월간산 2024년 4월호
  • 654호

마등령에서 사람을 업어 내리는건 구조대도 위험하다

월간산
  • 입력 2021.12.02 10:03
  • 수정 2021.12.03 10:4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름 트레킹화 신은 30대 남성, 공룡능선 50대 여성 저체온증으로 목숨 잃어

저체온증으로 2명의 등산객이 사망한 다음날인 11월 10일 아침의 대청봉 일대. 11월이지만 설악산 주능선은 한겨울 풍경이다.
저체온증으로 2명의 등산객이 사망한 다음날인 11월 10일 아침의 대청봉 일대. 11월이지만 설악산 주능선은 한겨울 풍경이다.

공룡능선 50대 여성은 과연 살릴 수 없었을까? 이 질문을 꺼내기가 어려웠다. 등산을 해본 사람은 알겠지만, 악천후의 산에서는 상식이 통하지 않는다. 게다가 장소가 험한 능선의 대명사인 공룡이고, 강풍으로 인해 체감기온이 -30℃에 이른다면, 현장에 있지 않았던 사람이 왈가왈부 하는 건 고인과 죽을 고생을 한 구조대원들을, 편하게 책상에 앉아 욕보이는 행위일 수 있다. 그럼에도 납득하기 쉽지 않은 점이 있다. 공룡능선에서 50대 여성을 구조한 구조대원은 공룡능선 중간에서 환자를 만났을때는 살아있었으나 마등령으로 업어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사망했다는 말을 제3자를  통해 전했으며, 자세한 인터뷰는 거절했다.

11월 9일 설악산에서 최악의 상황에 놓인 이들이 목숨이 오가는 사투를 벌이고 있었다. 구조를 요청한 사람도 최악의 상황이지만, 구조에 나선 이들도 최악의 상황이었다. 이날 하루 동안 설악산에서 3건의 사고가 발생해 2명이 사망했다. 

첫 구조 요청은 공룡능선이었다. 거리상 가장 가까운 희운각대피소의 국립공원 직원들이 출동해 구조하고 있던 상황에서, 15시경 2건의 구조 요청이 동시에 발생했다. 대청봉-오색 간 등산로와 마등령 인근 공룡능선에서 연락이 온 것. 

 11월 9일 중청대피소의 기상상황이 표시된 모니터. 풍속이 태풍에 가까운 18m/s를 표시하고 있다.
11월 9일 중청대피소의 기상상황이 표시된 모니터. 풍속이 태풍에 가까운 18m/s를 표시하고 있다.

여름 트레킹화 신은 34세 남성 사망

대청봉에서 오색 방면으로 1.3km 지점에 쓰러져 있는 34세 남성 A씨를 발견한 등산객이 신고해 중청대피소 직원들이 15시 40분경 현장에 도착했으나 A씨는 온 몸이 경직된 상태로 맥박이 없었다. 국립공원 직원들이 심폐소생술을 했으나 맥박은 돌아오지 않았다. 최초 신고자인 등산객이 발견 당시 A씨의 맥박이 없는 상태라 심폐소생술을 했으나 맥박은 돌아오지 않았다고 한다. 

A씨의 사망 원인은 저체온증으로 인한 심장 정지로 추정된다. 사고 당일 오전 9시쯤부터 비를 동반한 강풍이 불어 중청대피소에서 측정한 바에 따르면 태풍에 가까운 18m/s의 강풍이었다고 한다. 오전부터 내리던 빗방울이 오후가 되면서 기온이 -7.4℃까지 떨어져 눈으로 변한 상태였다. 국립공원의 ‘체감온도 환산표’에 따르면 이날 오후의 기온과 바람을 감안하면 체감기온은 -30℃였다. 11월 7일 주말의 체감기온과 비교하면 25℃ 이상 큰 폭으로 떨어진 게릴라성 한파였던 것. 

발견 당시 얇은 패딩재킷 차림의 A씨는 발목 부위가 낮은 운동화 형태의 여름 트레킹화를 신고, 등산복이 아닌 일반 바지를 입고 있었다고 한다. 배낭 안에는 얇은 간절기용 바람막이 재킷이 있었으나 입지 않은 상태였다.  

같은 시간(15시쯤) 마등령 부근에서는 60대 남성과 50대 여성 부부가 구조 요청을 했다. 비선대에서 마등령으로 올라 공룡능선을 지나 비선대로 하산할 계획이었으나 마등령에서 공룡능선으로 가던 중 50대 여성이 탈진과 저체온증 증세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 

마등령에서 무너미고개까지 5km에 이르는 공룡능선은 이름처럼 날카로운 바위봉우리가 이어진 구간이라 거리에 비해 시간과 체력 소모가 큰, 설악산의 대표적인 난코스다. 당시 오색과 희운각 2건의 사고를 수습하느라 인력이 부족했던 국립공원 측은 119산악구조대에 지원을 요청했다. 일반적으로 가까운 대피소에 있는 국립공원 직원이 출동하거나, 119와 국립공원 직원이 함께 출동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인력 부족으로 119구조대만 출동한 것. 

사고자와의 전화통화에서 119구조대는 마등령에서 비선대 방면으로 하산하기를 권했으나, 부부는 희운각 방면으로 진행했다. 통화가 잘 되지 않는 지역인 공룡능선에서 강풍으로 인해 원활한 소통이 어려웠던 것이 원인이었다. 

비선대를 지나 천불동계곡으로 공룡능선에 이른 119구조대는 17시쯤 부부와 공룡능선 중간에서 만났다. 당시 50대 여성은 의식이 혼미할 정도로 저체온증이 심했다. 헬기 출동은 강풍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라 긴급 조치를 한 후 업고 가장 가까운 대피소에서 응급처치를 하는 것이 최선이었으나, 119구조대는 의외의 선택을 했다.

환자를 돌아가면서 업고 마등령 쪽으로 하산하기로 한 것. 즉 공룡능선 중간쯤 위치에서 희운각대피소가 2.5km쯤으로 가장 가깝지만, 반대 방향인 마등령을 택했다. 마등령에서는 비선대를 거쳐 설악동으로 하산하는 코스를 택했다. 이와 중에 정확한 시점은 알 수 없으나 환자가 사망한 것.

마등령에서 비선대로 내려서는 3.5km 코스는 산행해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듯, 최난 구간에 속한다. 거기다 비와 눈에 젖은 바위에, 17시에 공룡능선 중간쯤에서 출발했다면 이미 한참 어둠이 내린 시간이다. 환자의 생존이 아니라 구조대의 안전도 위험에 처할 만한 선택을 한 것이다. 마등령-비선대 코스는 ‘관절 연골 킬러’라고 불릴 만큼 가파른 돌길이고, 산길도 희미하다. 비바람이 치는 체감온도 -30℃의 밤에 사람을 업고 내려서는 것은, 거의 인간의 한계에 도전하는 것과 비슷한 셈이다.  

 11월 9일 오색-대청봉 간 산길에서 사망한 탐방객을 구조대원들이 수습하고 있다.
11월 9일 오색-대청봉 간 산길에서 사망한 탐방객을 구조대원들이 수습하고 있다.

구조 협동 시스템 보완해야  

어느 국립공원 직원은 “지금 설악산의 119산악구조대는 역대 최강이라 할 만큼 대단한 실력을 가진 대원들”이라며 “그들이 그런 선택을 했다면 그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라 말했다. 만약 마등령에서 오세암으로 갔더라면, 1.4km 거리이고 데크계단이 있는 걸 감안하면 훨씬 짧은 시간에 뜨거운 물을 끓일 수 있고 전기가 있는 암자에 도착해 생명을 살릴 확률이 높아졌을 수도 있다. 

게다가 비선대에서 다시 2.3km의 산길이 있다. 물론 응급차가 들어와서 거리는 상당히 줄일 수 있겠지만, 꼬불꼬불한 산간도로를 따라 10km가량 가야 속초시내의 병원에 닿는다. 게다가 저체온증 환자는 병원에 간다고 해서 수술로 살릴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최대한 빨리 체온을 올리는 것이 방편임을 감안하면, 희운각대피소나 못해도 오세암으로 가는 것이 옳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마등령 도착 전에 사망했다고 가정하더라도, 가까운 오세암으로 가서 헬기가 뜰 수 있을 때 옮겨 가거나, 일단 그날 밤은 지난 후 아침에 새로운 대원들이 와서 옮겨가는 것이 이들에게도 안전한 방법이다.

구조대원들은 공룡능선과 마등령의 그 힘든 길을 업어서 내렸다. 즉 대원들은 요령 피우거나 구조에 충실하지 않았다는 얘기가 아니라, 그 반대다. 스스로의 안전이 위태로울 정도로 큰 고생을 했다. 구조대원도 사람이고, 급여를 받는 직업임을 감안하면, 도를 넘어서는 고통을 감내해서까지 하는 건, 무리가 있다. 대원들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서라도 이번 사례가 반복되어선 안 된다.  

더불어 긴급상황에서 국립공원과 119구조대, 그리고 사찰이 협업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고 보강되어야 한다. 사람의 목숨이 달린 일이므로, 소속과 관할이 다르더라도 비상시 협력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11월 9일 고인이 된 두 사람의 명예와, 몸과 마음에 상처가 남았을 구조대원들의 명예를 실추시킬 의도는 결코 없다. 다만 감정적으로 누가 잘못했는지를 따지기보다, 이성적으로 접근해 사람을 살리는 효율적인 구조 협동 시스템이 되도록 보완해야 한다.  

본 기사는 월간산 12월호에 수록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월간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