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월간산 2024년 4월호
  • 654호

[산행상담실] 무엇이 '산'인가요?

글 이용대 코오롱등산학교 명예교장 사진 C영상미디어
  • 입력 2020.11.12 09:4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Q4. 우리나라의 산은 몇 개나 되며 어느 정도의 높이를 기준으로 산을 정하는 것인지요. 또한 산의 범위에 들지 못하는 낮은 고지는 무엇이라고 부르는지요


경기도 의정부시 정인식

우리나라 산을 개체별로 그 숫자를 파악한 통계는 아직 없습니다. 다만 국토면적 구성 비율로 집계된 산지의 통계자료는 국토면적(남한기준)의 65.2%인 64,775㎢(1992년 건설부 자료)가 산지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또한 고도별 분포를 살펴보면 2,000m 이상이 전 국토의 0.4%, 1,500~2,000m가 4%, 1,000~1,500m가 10% (주로 함경 남·북도에 분포)로 총면적의 30~40%를 차지하며, 500~1,000m의 산지는 약 20%로 강원도와 평안북도가 각각 40%를 차지하고, 200~500m의 저산지는 전 국토의 40% 이상(이 중 충청북도 약 75%, 경상북도 약 65%, 경상남도와 황해도가 50%)입니다. 우리나라 산의 전체 평균고도는 482m이며, 아시아의 평균고도 960m에 비하면 매우 낮은 저산성지로 되어 있습니다.

지리학적인 의미의 산은, 육지의 표면이 주위의 땅보다 훨씬 높이 솟은 부분을 가리키며, 주변 토지의 지면으로부터 다소라도 급히 솟아올라 인접한 곳에 비해 현저한 높이를 보이는 지표면의 높은 곳이라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고도가 높더라도 대부분이 수평면으로 이루어진 지형은 대지Table land platform 또는 고원Plateau high land이라고 불러 산과 구별합니다.

어느 정도 높이比高이면 산이라고 하는가에 대해서는 어떤 기준이나 원칙이 없으며, 지형적인 특성에 따라 나라마다 다르며 지방 또는 기관별로도 견해를 달리하고 있습니다.

영국에서 출간된 <등산백과사전Encyclopedia of mountaineering>을 보면 2,000피트(약 700m) 이상의 높이를 가진 봉peak을 산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이는 영국 최고봉인 벤네비스 산의 높이가 1,343m에 불과한 저산성의 산지를 지닌 그들 나름의 지형적인 특성 때문에 이런 기준이 생겼다고 봅니다. 그러나 중성산지를 지닌 유럽의 알프스지역에서는 3,000m 이상을 산으로 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연구기관에 따라 견해를 달리하고 있습니다. 건설부의 경우는 경사 5~10도, 기복량(1km×1km) 100m 이상인 지역을 산지라고 하며, 100m 이하인 지역을 구릉지로 보는가 하면, 지리학에서는 급경사 부분의 면적이 평탄한 부분에 비해 두드러지게 넓은 기복의 크기를 가진 지역으로 포괄적인 정의를 하고 있습니다.

산의 범위에 들지 못하는 낮은 고지는 구릉丘陵 또는 언덕Hill으로 불러 산과 구별하고 있습니다.

등반대상으로서의 산은 설선雪線 이상의 높이를 가진 곳을 산으로 보는 것이 상식이나, 저 산성지로 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특성상 해발고도가 500m 이상인 곳을 산으로 보는 것이 통념인 듯합니다.

저작권자 © 월간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