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월간산 2024년 5월호
  • 655호

[연재 | 옛 문헌에 나오는 ‘한반도 명산’ <6> 조선왕조실록⑤] 세조 때는 1년 새 기우·기청제 동시 지내

글 박정원 선임기자
  • 입력 2020.05.21 09:5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명산에서 한 달에 몇 번 기우제 올리기도…풍수·명당에 대한 기록도 안 빠져

<세종실록>148권부터 155권까지는 전국 명산과 대천, 지리적·문화적 특성에 대해 자세하게 기술한 사실상 최초의 관인 지리역사서를 완성했다. 지금까지 전하는 이 지리지는 현대에도 매우 유익한 역사적 가치를 지닌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세종 이후 명산에 대한 기준이나 시각이 어떻게 바뀌는지 살펴보는 것도 중요한 기준이 된다. 

<문종실록>2권 문종 즉위년(1450) 6월에 경상도 각 수령에게 기우제 지낼 것을 허락한다는 제목하에 ‘경상도 감사 보고에 6월 이후로 비가 시기를 어기어, 지금 화곡禾穀 이삭이 날 때를 당하여 말라죽을 염려가 있으므로, 이미 각 고을 수령으로 하여금 친히 기우제를 지내게 했다 하니, 청컨대 본도의 악岳·해海·독瀆·명산名山·대천大川에 향과 축을 내리어 비를 빌게 하소서 하니 임금이 그대로 따랐다’는 기록이 나온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조선시대에는 명산에서 기우제를 지내는 게 국가와 지방관청의 중요한 행사 중의 하나였다. 문종 1년에도 비슷한 내용의 기록이 소개된다. 

<문종실록>13권 문종 2년(1452)에는 임금의 병이 낫지 않으므로 조관들을 보내어 명산·대천의 신에게 기도하게 하다는 제하의 기록에서 ‘의정부에서 임금의 병환이 낫지 않는 이유로써 조관을 나누어 보내어 가까운 명산·대천의 신에게 기도했는데, 축문은 모두 동궁이 서명한 것이었다’는 내용이 있다. 

조선의 명산은 기우제를 지내는 데 이어 치병의 대상으로서도 활용된 사실을 알 수 있다. 한양 주변의 산뿐만 아니라 여러 도의 명산대천의 신에게 기도를 올렸다고 뒤이어 계속 소개된다. 역사적으로 널리 알려진 허약한 문종이 즉위하자마자 병환 때문에 고생한 사실도 기록을 통해 엿볼 수 있다. 

<단종실록>2·6·7권에도 기우제를 지낸 기록이 그대로 소개된다. 여기서 특징적인 부분만 소개하면, 단종 1년(1453) 7월 의정부에서 기우제를 지내기를 청하다는 제하의 기록에서 ‘의정부에서 예조의 정문呈文에게 의거하여 아뢰기를, 이번 7월 초3일에 북교에서 기우하였으나, 아직 비가 내리지 아니하니, 청컨대 다시 풍운뇌우단(조선조 때 바람·구름·우레·비를 맡아 보던 천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단壇. 서울 남교 청파역 부근에 있었는데, 봄·가을에 제사를 지냈음)과 한강·삼각·목멱의 우사단雩祀壇(하늘에 비를 빌던 기우제를 지내던 단)에서 빌게 하소서. 또 듣건대, 경기·충청도·강원도·황해도·전라도가 모두 가물다 하니, 청컨대 아울러 향과 축문을 내려서 관찰사의 수령관 및 소재지의 관원으로 하여금 악·해·독과 명산대천에 빌게 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는 내용이다.

명산뿐만 아니라 전국 곳곳에 천신과 산신에 지내는 제단을 마련해서 봄·가을 정기적으로 최소한 지방수령관으로 하여금 제사를 지내게 했다. 조선시대 들어서 명산에서 산신제를 지낸 기록은 없어졌지만 다소 변형된 형태로 기우제나 치병제를 계속 지냈다. 그런데 왜 명산에서 이 같은 제사를 지냈을까 하는 의구심이 생기지만 일단 전체 기록을 먼저 살펴본 뒤, 그 이유에 대한 의미를 한번 찾아보자.

1 문종이 병을 앓자 전국 명산대천의 신에게 제례를 올렸다는 기록이 보인다.
2 <조선왕조실록></div> 곳곳에 풍수에 관한 기록이 있다. 경복궁을 둘러싼 산들이 명당이라고 주장하는 내용의 상소문이다.
1 문종이 병을 앓자 전국 명산대천의 신에게 제례를 올렸다는 기록이 보인다. 2 <조선왕조실록> 곳곳에 풍수에 관한 기록이 있다. 경복궁을 둘러싼 산들이 명당이라고 주장하는 내용의 상소문이다.

기청제는 입추 후까지 비가 내려 그치게 하는 것

특히 단종 2년에는 전국적으로 가뭄이 심각했던 듯하다. 원래 지정된 명산뿐만 아니라 기우제를 지낼 만한 어느 곳에서나 지내라고 의정부에서 지시를 내린다. 

단종 2년(1454) 7월 한재旱災가 절박하니 영험이 있는 곳에 기우제를 지내도록 하다는 제하의 기록에서 ‘의정부에서 예조의 정문에 의거하여 아뢰기를, 지금 한재가 절박하니, 청컨대 종묘·사직·풍운뇌우·산천·성황에 기도하여 제사하게 하고, 한강·양진·박연 등에 호두를 물속에 잠기게 하며, 아울러 사의蛇醫(파충류의 하나로서 도마뱀과 비슷)로 기우하게 하시고, 또 향축을 제도에 내려서 악·해·독, 명산대천에 나아가 빌게 하시고, 비록 사전祀典에 기재되어 있는 바가 아닐지라도 만약 영험이 있는 곳이면 또한 소재 고을의 수령으로 하여금 나아가 빌도록 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라고 나온다. 

세조 들어서도 기우제에 대한 기록은 내용에 별 차이 없이 세조 1년(1455)부터 2년, 3년 들어서도 매년 몇 번씩 기우제를 지냈다는 사실을 소개한다. 

그런데 세조 3년(1457)에는 4월 한 차례, 5월 세 차례나 기우제를 지내는 등 비가 필요한 시기에는 줄곧 기우제를 지내다, 8월 들어서 장맛비가 계속 내리자 예조에서 함길도에 장맛비가 계속되니 기청제와 길일에 제사할 것을 청하다는 재미있는 기록이 나온다. 

‘예조에서 아뢰기를, 함길도에서 장맛비가 그치지 않으니, 청컨대, 향과 축문과 폐백을 내려서 명산·대천에 기청祈晴(날이 개기를 기도하는 것. 기청제는 공식적으로 입추 후까지 장마가 계속될 때 날이 개기를 빌던 나라의 제사이며 의식은 기우제와 비슷하다)하게 하소서. 만약 비가 그치지 않으면 그 도道의 관찰사로 하여금 길일을 택하여 제사를 지내게 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비를 구할 때는 기우제, 비를 그치게 할 때는 기청제로 관청에서 시시때때로 명산대천에 제사를 지낸 사실에 대해서 실소를 금하지 않을 수 없다. 세조 4년에도 5월에는 기우제, 세조 5년 6월에는 기청제를 지낸 기록을 엿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우제는 매년 정례행사 같이 지냈다. 

세조 7년(1461) 7월에 예조에서 경상도 여러 고을에 비가 오지 않음을 아뢰다는 내용에서는 구체적인 명산이 다시 등장한다. 

‘예조에서 경상도 관찰사의 관문에 의거하여 아뢰기를 도내의 영덕·청하·상주·선산·인동·성주·대구·경산 등 고을은 지금 화곡이 이삭이 팰 때를 당하여 여러 달을 계속하여 비가 내리지 않아서 점점 타고 마르는 데 이르니, 백성의 생활이 염려스럽습니다. 청컨대 향축과 폐백을 내려서 본도 관찰사로 하여금 사전에 실린 명산대천에 빌게 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여기서 명산대천은 나라에서 항상 제사를 지내는 큰 산과 큰 내를 말하는 사전에 실린 산으로, 치악산·계룡산·죽령산·우불산·주흘산·전주성황·금성산·목멱산·오관산·우이산·감악산·의관령·영흥성황과 장진명소·양진·장산곶이·아사진곶이·청천강·구진익수·덕진명소·비류수 등을 말한다.

계룡산은 고대 중국에서부터 기록에 있는 한반도의 대표적인 명산이다.
계룡산은 고대 중국에서부터 기록에 있는 한반도의 대표적인 명산이다.

명당, 풍수에 대한 관심은 빠지지 않아 

세조 10년(1464)에는 명산에 대한 풍수로 논박이 이어진다. 풍수학 훈도 최연원이 최양선을 반박하는 상언을 올리는 내용이다. 

‘백악산의 명당은 배임향병背壬向丙이며, 궁궐은 자좌오향子坐午向입니다. (중략) 승문원의 좌지가 진짜 명당이라면 청오자靑烏子와 곽박郭璞, 양균송楊筠松과 증의산曾義山 같은 현인이 도리어 어리석은 술사로 되어 최양선에 미치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중략) <지현론>에 이르기를 진룡眞龍은 우유優游하며, 진혈眞穴은 은오隱奧한다고 했고, <의룡경>에 이르기를 천리의 내산來山에는 다만 한 혈이 있을 뿐인데, 정혈인 것은 우유하고 방혈旁穴인 것은 미약하매, 지산支山에는 혈이 있어서 비록 형세를 이룰지라도 간룡幹龍의 주정主精하는 것만 같지 못하다고 했으니, 이로써 보건대, 백악산이 우유하여 간룡이 되고 승문원은 미약하여 지룡이 되니, 백악산은 정혈이 되고 승문원이 방혈이 되는 것이 분명합니다. 

<의룡경>에 이르기를 대개 작은 지룡은 기맥이 짧다고 했고, 또 이르기를 큰 나무에 작은 가지가 생기는 것과 같아서 작은 가지는 피곤하기가 쉽고 큰 가지는 비대하기가 쉬우니, 큰 가지가 전체의 기운을 나누어 빼앗아 가면 작은 가지는 치지 않아도 저절로 쇠약해진다고 했으니, 백악산이 간룡으로서 특별히 크고, 승문원은 가지로서도 또한 작으니, 백악산이 그 기운을 전부 빼앗으므로, 승문원은 치지 않아도 저절로 쇠할 것을 대개 알 수 있습니다. (중략) 

백악산의 명당은 관평寬平하며 은비隱秘하니, 하엽 모양에서 연꽃술만이 홀로 높은 것인데, 앉아서 진무鎭撫하고 관의 주가 되면 백악산이 진혈이 되고 승문원이 화혈이 되는 것이 분명합니다. (중략) <착맥부>에 이르기를 청룡이 강하면 청룡을 따르고, 백호가 강하면 백호를  따른다고 했으니, 우리 도읍의 형세가 백호는 강하나, 청룡이 작으니, 경복궁이 참이 되는 것은 더욱 분명합니다. 

<지리문정>에 이르기를 아들이 어미를 떠나지 않으면 그로써 정맥인 것을 인정한다. 건은 건으로 응하고, 곤은 곤으로 응한다고 했으며, <이순풍소권>에 이르기를 건은 건으로 응하고, 곤은 곤으로 응하며, 돌은 돌로 응하면 이것은 정당한 응이려니와, 정응이 아니면 반드시 상相을 볼 것도 없다. 비록 혹시 명당이 되었다고 할지라도 또한 작은 의식이나 입고 먹을 것이라 하였으니, <지남시>에 이르기를 귀산이 높이 귀인봉을 솟아 존중하고 당당하여 여러 봉 가운데 섰다고 했으며, <명산보감>에 이르기를 급히 뾰족한 봉을 일으켜 현무를 정하니, 문득 이것이 참 용이면 주산이라고 했으며, <감룡경>에 이르기를 또한 높은 봉이 있으면 이는 현무이니, 현무가 떨어지는 곳에 사신四神이 모이는 것이라고 했으며, <혈법비요>에 이르기를 삼양三陽이 촉박하지 않아야 한다. 명당이 내양內陽이 되고 안산案山이 중양이 되고, 뒷산이 외양이 되니 이것을 삼양이라고 한다고 했으니, 이제 이 명당은 삼각산이 북쪽으로부터 남쪽으로 향하여 내려와서 조종이 되고, 아래에 한 봉요峰腰를 지어 다시 보현의 두 봉을 일으키니, 하나는 높고, 하나는 낮아 음양이 서로 나타나서 부모가 되었으며, 이로부터 우익이 좌우로 흔들며 남쪽으로 향하여 장막이 거듭거듭 수렴하고, 뒷기운이 동서로 옹포擁抱하고 가운데에 큰 간룡이 있어 흔들고 내려와서 유입수로 백악산이 되었으며, 조종이 감산坎山인데 입수도 또한 감산이며, 조종이 석산인데 입수도 또한 석산으로 되어 아들이 어미를 떠나지 않고 모두 정응을 지었으며, 금반하엽 모양을 만들어 연꽃의 꽃술의 뾰족하고 빼어남과 같으며, 만승의 지존과도 같아 명당을 좌진坐鎭하니, 이는 관란關闌의 주인이요, 산수가 조화한 바가 아니겠습니까? (중략)

<지남시>에 이르기를 안산 밖의 정조하는 봉이 빼어나면 문장과 공업이 조정에서 떨친다고 했으니, 백악산의 오른쪽 팔뚝이 회전하여 준거하고, 다음에 평강을 짓고 다시 목멱산이 일어나 주작이 되어 내려와서 수구를 회진하여 바로 선궁에 합하니, 백호가 안산이 된 것입니다. 그 평강의 땅을 지음에 관악산이 속리산으로부터 멀리 뻗어 내려와서 조회하니, 이것이 이른바 천리에서 와서 조회한 안산 밖의 봉이 빼어나는 것입니다. 만약 이 봉우리가 없고 목멱산이 가리어 밖의 조회하는 봉이 보이지 않으면 <보감>에서 말한바 삼양의 오로지한 것과 <입식가>에서 말한 바 가까운 안案은 낮고 먼 안이 높으면 한 거듭 안이 한 거듭 손에 비比한다는 것에 어떠하다 하겠습니까? (중략) 승문원의 좌지는 가화假花가 되고, 경복궁의 명당은 간幹과 진眞이 되는 것을 분명히 보겠습니다. 공경스럽게 생각하니, 우리 태조 강헌 대왕께서 큰 복조를 여시니, 하느님이 한양의 도읍을 주시었으니, 산수의 조회한 바는 오직 백악산일 따름입니다.’ 

조선 초기의 명산에 대한 인식은 대체적으로 기우제와 기청제, 치병제, 풍수, 즉 명당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산이 다양한 섬김의 대상으로 점차 변모하고 있다.

저작권자 © 월간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